2025. 4. 11. 09:44ㆍ이런 직업은 어떻게 돼?
최근 티빙과 웨이브에서 BL 장르가 나왔다는 소식이 있습니다. 바로 '태권도의 저주를 풀어줘' 라는 ott가 나왔는데요. 장르가 BL이다 보니 덜컥 이상한 장르가 아닌가? 라는 생각을 할 수도 있겠지만 그들의 이야기는 태권도 특기생 신주영과 태권도로부터 벗어나고 싶어 하던 이도회가 열여덟에 만나 오해로 인해 헤어졌다가 12년 후, 어른이 되어 다시 재회하면서 이야기가 진행되기 시작합니다. 그렇게 흥미있게 보다보니 태권도 국가대표 선수는 어떻게 되는지 궁금해진 분들이 많으실 것같아 오늘은 태권도 국가대표 선수가 되는 방법을 가지고 왔습니다.
국가대표 태권도 선수가 되려면 단순히 실력만 좋은 것으로는 부족합니다. 실전 경험, 전국 대회 성적, 체계적인 훈련이 모두 중요하며, 대한태권도협회(KTA) 및 대한체육회가 주관하는 공식 선발 절차를 통과해야 합니다. 아래는 단계별로 자세히 설명해드릴게요. 👇
✅ 1. 기초부터 실력 쌓기 (유소년~중고등)
🔹 태권도 도장 입문 (유아~초등학생)
- 어린 시절부터 태권도장에서 기본기, 품새, 겨루기 등을 익히기 시작합니다.
- 도장마다 승급 심사를 통해 흰띠 → 노란띠 → 파란띠 → 빨간띠 → **검은띠(유단자)**로 승단합니다.
- 태권도 유단자는 대한태권도협회(KTA) 공인 단증을 취득해야 공식 대회 출전 자격이 생깁니다.
🔹 태권도 전공 중·고등학교 진학
- 실력을 키운 유망주들은 태권도부가 있는 중학교, 고등학교로 진학합니다.
- 주로 **태권도 명문 학교(경남체고, 충북체고, 서울체고 등)**에 입학하여 전문적인 훈련을 받습니다.
- 소년체전, 전국체전, 대통령기대회, 문화체육관광부장관기 대회 등에서 입상하며 실적을 쌓습니다.
✅ 2. 전문선수로서 대회 참가 & 랭킹 획득
🔹 대한태권도협회(KTA) 선수 등록
- 중학교 이상부터는 KTA에 공식 선수 등록을 하고, **겨루기(스파링)**나 품새 부문에서 활동합니다.
- 등록 후 공식 전국대회에 출전할 수 있는 자격을 얻게 됩니다.
🔹 중요한 전국대회 참가
국가대표 선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대회는 다음과 같습니다:
- 대통령기 전국대회
- 전국체육대회
- 국가대표 1차·2차 평가전
- 코리아오픈 국제대회
- 협회장기 대회
이런 대회에서 입상 성적이 높을수록 국가대표 선발에 유리합니다.
✅ 3. 국가대표 선발전 참여 (KTA, 대한체육회 주관)
📌 선발전 참가 조건
- 대한태권도협회가 주관하는 각종 대회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둔 선수들만 선발전에 출전할 수 있습니다.
- 연령대별로 청소년 국가대표(U-17, U-20) 또는 성인 국가대표로 나뉘며, 겨루기/품새 부문에 따라 다릅니다.
📌 선발전 구조
- 보통 연 1~2회 국가대표 선발전이 열리며, 전국 상위 랭커들이 참가합니다.
- 평가 기준:
- 실전 겨루기 능력
- 체력 테스트
- 기술 정확성
- 국제 경쟁력 (예: 경기 운영 능력, 정신력)
🏆 최종 선발
- 선발전 결과에 따라 대표팀 코치진이 추천하고, 협회가 공식 발표합니다.
- 선발된 선수는 **국가대표 훈련센터(태릉, 진천선수촌 등)**에서 합숙 훈련을 받으며 국제 대회 준비를 시작합니다.
✅ 4. 국제대회 출전 및 실적 관리
🌎 국가대표가 출전하는 주요 대회
- 세계태권도선수권대회 (World Taekwondo Championships)
- 아시안게임
- 올림픽 (올림픽은 겨루기 종목만 정식 종목)
- 유니버시아드
- 월드컵 태권도팀챔피언십
- 그랑프리 시리즈
📈 실적이 중요
- 국가대표는 매년 경쟁평가를 통해 실적이 부진하면 탈락될 수 있습니다.
- 국제대회에서의 성적, 경기력, 태도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받습니다.
✅ 5. 필수 조건 및 유의사항
🧠 경기 규칙, 전술 이해도
- 최신 경기 규칙과 전자 호구 판정 시스템에 대한 이해가 중요합니다.
- 심판 판정 흐름, 상대 전략에 대한 분석도 필수입니다.
🏋️♀️ 체력 및 심리 관리
- 고도의 집중력과 체력, 빠른 회복력은 기본입니다.
- 심리 훈련을 통해 긴장 조절 능력도 키워야 합니다.
📑 자격 요건 정리
- KTA 공인 단증 소지자
- KTA 등록선수
- 국가대표 선발전에 참가할 수 있는 대회 실적
- 신체 건강 및 도핑 테스트 이상 無
🥋 결론: 태권도 국가대표는 하루아침에 되는 것이 아니다!
국가대표가 되기까지는
✅ 오랜 훈련
✅ 수많은 전국 대회 실적
✅ 엄격한 선발전 통과
가 모두 필요합니다.
하지만 확실한 건, 꾸준한 훈련과 목표의식, 승부 근성이 있다면 누구든지 도전할 수 있는 길이라는 것!
'태권도의 저주를 풀어줘' 에서도 클라이맥스로 갈 수록 등장인물간의 진심과 관계를 회복하는 부분이 나오면서 태권도의 의마와 각자에 꿈애 대한 깨달음을 얻고 태권도가 단순히 운동뿐만아니라 자신을 표현하는 방법이라는 것을 느끼게 되면서 진정으로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다시 생각하게 됩니다. 우리도 국가 대표가 되는 과정을 알아보면서 재능이 없이 도전하기엔 많은 노력과 오랜 훈련이 필요한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래도 관심이 있다면 한번 배워 보면서 열심히 노력을 한다면 얼마든지 재능은 꽃 피워질 수 있으니 모두 화이팅 입니다!
'이런 직업은 어떻게 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예 매니저 실무 완전 정복! 계약, 스케줄 관리, 홍보 업 (4) | 2025.03.12 |
---|---|
교육업계에서 살아남기! 강사 브랜딩과 홍보 전략 (2) | 2025.03.12 |
웹툰 작가 준비! 필수장비, 툴, 스토리 기획법 (1) | 2025.03.12 |
전업주부도 가능? 홈쇼핑 MD 직무와 필요 역량 (0) | 2025.03.05 |
아동 미술 심리치료사 필수 자격증과 취업 방법 (0) | 2025.03.05 |